지난 1월, 인공지능(AI) 업계에 엄청난 파란을 일으킨 기업이 등장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딥시크(DeepSeek). 이제는 중국 AI 기술력을 상징하는 얼굴이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딥시크가 공개한 대규모언어모델(LLM) ‘R1’은 저렴한 비용으로 오픈AI의 ‘챗GPT-4’를 상회하는 성능을 보였다는 점에서 충격을 몰고 왔습니다.
“딥시크가 밝힌 개발비용, 10배 이상 들었을 것“ 분석 주목
낮은 개발 비용과 우수한 성능으로 전 세계 테크업계를 강타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비용이 당초 알려진 것보다 10배는 더 들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반도체 연구 및 컨설팅 업체인 세미애널리시스는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하드웨어 지출이 "현재까지 투입된 비용만 5억 달러(약 7천300억원)를 훨씬 웃돌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루시아 2.5'의 솔트룩스 “성능·비용 면에서 딥시크 넘었다“
솔트룩스는 지난 2월 자체 행사인 'GenAI Hands-on'을 열고 루시아 2.5와 구버 플랫폼에 대한 업데이트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초거대 언어모델인 루시아와 생성형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구버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초점을 맞췄는데요. 솔트룩스는 AI의 산업 적용과 경제성을 강조하며, GPT-4 대비 200분의 1 수준의 운영 비용으로 동일한 품질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소개해 관심을 모았습니다.
팔로알토, 딥시크 '탈옥' 공격에 취약해…보안 경고 울려
팔로알토 네트웍스 위협 연구 기관 유닛42(Unit42) 조사에 따르면 딥시크의 보안 취약점으로는 ‘탈옥(jailbreaking)’이 꼽히며, 이는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용자도 악성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탈옥은 AI 모델에 내장된 가드레일을 우회해 AI가 유해한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부적절한 답변 등을 출력하도록 유도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현대차그룹, 딥시크 사용 제한...해외사업장에도 곧 적용
현대차그룹의 주요 계열사들이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 사용을 전면 제한했습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2월 서울 서초구 양재사옥 임직원들에게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다는 공문을 보냈는데요. 회사는 딥시크에 따른 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자 방안을 논의하다 이날 정보 보안상의 이유로 딥시크 접속 차단 방침을 결정했다고 전했습니다.